쵼쥬
쵼쥬의 개발공부 TIL
쵼쥬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276)
    • 코딩테스트 (192)
      • [알고리즘] 알고리즘 정리 (7)
      • [백준] 코딩테스트 연습 (126)
      • [프로그래머스] 코딩테스트 연습 (59)
    • Spring (71)
      • [인프런] 스프링 핵심 원리- 기본편 (9)
      • [인프런] 스프링 MVC 1 (6)
      • [인프런] 스프링 MVC 2 (4)
      • [인프런] 실전!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(7)
      • [인프런] 실전!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(5)
      • [인프런] 실전! 스프링 데이터 JPA (7)
      • [인프런] 실전! Querydsl (7)
      • JWT (5)
      • [인프런] Spring Cloud (17)
      • [인프런] Spring Batch (4)
    • Java (6)
      • [Java8] 모던인자바액션 (4)
      • [부스트코스] 웹 백엔드 (2)
      • [패스트캠퍼스] JAVA STREAM (0)
    • CS (6)
      • 디자인 패턴과 프로그래밍 패터다임 (2)
      • 네트워크 (4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구현
  • querydsl
  • 알고리즘
  • 인프런
  • 비트마스킹
  • 백분
  • 코딩테스트
  • 부스트코스
  • 타임리프
  • Spring Data JPA
  • BFS
  • 자바
  • 누적합
  • 위클리 챌린지
  • spring
  • MVC
  • 스프링
  • 프로그래머스
  • 백준
  • jpa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쵼쥬

쵼쥬의 개발공부 TIL

코딩테스트/[알고리즘] 알고리즘 정리

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- DFS / BFS

2021. 10. 2. 14:39

스택 자료구조

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나중에 나가는 형식의 자료구조 (입구, 출구 동일)

 

큐 자료구조

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나가는 형식의 자료구조

 

 

DFS

  • 깊이 우선 탐색 (깊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탐색)
  • 스택 자료구조 또는 재귀 함수를 이용한다.

 

  1. 탐색 시작 노드를 스택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
  2. 스택의 최상단 노드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한 노드가 하나라도 있으면 그 노드를 스택에 넣고 방문 처리, 인접 노드가 없으면 스택에서 최상단 노드 꺼냄
  3. 2번을 수행할 수 없을때까지 반복

 

 

DFS 예제 코드

import java.util.*;

public class Main {

    public static boolean[] visited = new boolean[9];
    public static ArrayList<ArrayList<Integer>> graph = new ArrayList<ArrayList<Integer>>();

    // DFS 함수 정의
    public static void dfs(int x) {
        // 현재 노드를 방문 처리
        visited[x] = true;
        System.out.print(x + " ");
        // 현재 노드와 연결된 다른 노드를 재귀적으로 방문
        for (int i = 0; i < graph.get(x).size(); i++) {
            int y = graph.get(x).get(i);
            if (!visited[y]) dfs(y);
        }
    }
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        // 그래프 초기화
        for (int i = 0; i < 9; i++) {
            graph.add(new ArrayList<Integer>());
        }

        // 노드 1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
        graph.get(1).add(2);
        graph.get(1).add(3);
        graph.get(1).add(8);
        
        // 노드 2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
        graph.get(2).add(1);
        graph.get(2).add(7);
        
        // 노드 3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
        graph.get(3).add(1);
        graph.get(3).add(4);
        graph.get(3).add(5);
        
        // 노드 4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
        graph.get(4).add(3);
        graph.get(4).add(5);
        
        // 노드 5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
        graph.get(5).add(3);
        graph.get(5).add(4);
        
        // 노드 6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
        graph.get(6).add(7);
        
        // 노드 7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
        graph.get(7).add(2);
        graph.get(7).add(6);
        graph.get(7).add(8);
        
        // 노드 8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
        graph.get(8).add(1);
        graph.get(8).add(7);

        dfs(1);
    }

}

 

 


BFS 

  • 너비 우선 탐색 (가까운 노드부터 우선적으로 탐색)
  • 큐 자료구조 이용

 

  1. 탐색 시작노드를 큐에 삽입하고 방문처리
  2. 큐에서 노드를 꺼낸 뒤에 해당 노드의 인접 노드 중에서 방문하지 않은 노드를 모두 큐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
  3. 2번을 수행할 수 없을때까지 반복

 

BFS 예제 코드

import java.util.*;

public class Main {

    public static boolean[] visited = new boolean[9];
    public static ArrayList<ArrayList<Integer>> graph = new ArrayList<ArrayList<Integer>>();

    // BFS 함수 정의
    public static void bfs(int start) {
        Queue<Integer> q = new LinkedList<>();
        q.offer(start);
        // 현재 노드를 방문 처리
        visited[start] = true;
        // 큐가 빌 때까지 반복
        while(!q.isEmpty()) {
            // 큐에서 하나의 원소를 뽑아 출력
            int x = q.poll();
            System.out.print(x + " ");
            // 해당 원소와 연결된, 아직 방문하지 않은 원소들을 큐에 삽입
            for(int i = 0; i < graph.get(x).size(); i++) {
                int y = graph.get(x).get(i);
                if(!visited[y]) {
                    q.offer(y);
                    visited[y] = true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    }
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        // 그래프 초기화
        for (int i = 0; i < 9; i++) {
            graph.add(new ArrayList<Integer>());
        }

        // 노드 1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
        graph.get(1).add(2);
        graph.get(1).add(3);
        graph.get(1).add(8);
        
        // 노드 2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
        graph.get(2).add(1);
        graph.get(2).add(7);
        
        // 노드 3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
        graph.get(3).add(1);
        graph.get(3).add(4);
        graph.get(3).add(5);
        
        // 노드 4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
        graph.get(4).add(3);
        graph.get(4).add(5);
        
        // 노드 5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
        graph.get(5).add(3);
        graph.get(5).add(4);
        
        // 노드 6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
        graph.get(6).add(7);
        
        // 노드 7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
        graph.get(7).add(2);
        graph.get(7).add(6);
        graph.get(7).add(8);
        
        // 노드 8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
        graph.get(8).add(1);
        graph.get(8).add(7);

        bfs(1);
    }

}

 

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

 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Mf0pYO8VAZk&list=PLVsNizTWUw7H9_of5YCB0FmsSc-K44y81

'코딩테스트 > [알고리즘] 알고리즘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이진 탐색 알고리즘  (0) 2021.10.07
다이나믹 프로그래밍  (0) 2021.10.05
그리디 알고리즘  (0) 2021.10.04
백트래킹 알고리즘  (0) 2021.10.03
최단 경로 알고리즘 (다익스트라, 벨만-포드, 플로이드-워셜)  (0) 2021.10.01
    '코딩테스트/[알고리즘] 알고리즘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    • 그리디 알고리즘
    • 백트래킹 알고리즘
    • 최단 경로 알고리즘 (다익스트라, 벨만-포드, 플로이드-워셜)
    쵼쥬
    쵼쥬

    티스토리툴바